논어(論語) - 11. 선진(先進)
1.
子曰, “先進於禮樂, 野人也, 後進於禮樂, 君子也. 如用之, 則吾從先進.”
자왈 “선진어예악, 야인야, 후진어예악, 군자야. 여용지, 즉오종선진.”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 사람들은 예와 음악에 있어서 야인처럼 소박했으나, 후대의 사람들은 예와 음악에 있어서 군자처럼 형식미를 갖추고 있다. 만일 내가 마음대로 택하여 쓸 수 있다면 나는 옛 사람들을 따르겠다.”
2.
子曰, “從我於陳蔡者, 皆不及門也.” 德行, 顔淵閔子騫冉伯牛仲弓. 言語, 宰我子貢. 政事, 冉有季路. 文學, 子游子夏.
자왈 “종아어진채자, 개불급문야." 덕행, 안연민자건염백우중궁. 언어, 재아자공. 정사, 염유계로. 문학, 자유자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진나라와 채나라에서 고생할 때 나를 따르던 사람들이 모두 나의 문하에 없구나.
덕행(德行)으로 모범이 된 사람으로는 안연․민자건․염백우․중궁이 있었고,
언변으로 뛰어나기로는 재아․자공이 있었고, 정치에
능하기로는 염유․계로가 있었고,
문장과 학문으로는 자유․자공이 있었다.”
3.
子曰, “回也非助我者也, 於吾言無所不說.”
자왈 “회야비조아자야, 어오언무소불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회는 나를 도와주는 사람이 아니다. 그는 내가 하는 말에 대해 기뻐하지 않는 것이 없구나.”
4.
子曰, “孝哉閔子騫! 人不間於其父母昆弟之言.”
자왈 “효재민자건! 인불간어기부모곤제지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효성스럽구나. 민자건이여! 부모형제가 그의 효성을 칭찬하는 데는 사람들도 트집잡지 못하는구나.”
5.
南容三復白圭, 孔子以其兄之子妻之.
남용삼복백규, 공자이기형지자처지.
남용이 ‘백규’의 싯귀를 하루에 세 번씩 암송하자, 공자께서 형님의 딸을 그에게 시집 보내었다.
6.
季康子問, “弟子孰爲好學?” 孔子對曰, “有顔回者好學, 不幸短命死矣, 今也則亡.”
계강자문, “제자숙위호학?” 공자대왈 “유안회자호학, 불행단명사의, 금야즉무.”
계강자가 물었다.“제자 중에 누가 학문을 좋아합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안회라는 사람이 학문을 좋아하였는데 불행히도 젋은 나이에 죽었습니다. 이제는 그런 사람이 없습니다.”
7.
顔淵死, 顔路請子之車以爲之槨. 子曰, “才不才, 亦各言其子也. 鯉也死, 有棺而無槨. 吾不徒行以爲之槨. 以吾從大夫之後, 不可徒行也.”
안연사, 안로청자지거이위지곽. 자왈 "재부재, 역각언기자야. 리야사, 유관이무곽, 오부도행이위지곽. 이오종대부지후, 불가도행야."
안연이 죽자 그의 아버지인 안로가 공자의 수레를 팔아 그에게 덧관을 만들어 줄 것을 청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재주가 있든 없든 각기 자기의 자식을 위해 말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내 아들 리가 죽었을 때도 관만 있었고 덧관은 없었다. 내가 걸어다니면서까지 그에게 덧관을 만들어 주지 않은 것은, 나도 대부의 신분인지라 걸어서 다닐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8.
顔淵死. 子曰, “噫! 天喪予! 天喪予!”
안연사. 자왈 “희! 천상여! 천상여!”
안연이 죽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 하늘이 나를 버리시는구나! 하늘이 나를 버리시는구나!”
9.
顔淵死, 子哭之慟. 從者曰, “子慟矣” 曰, “有慟乎? 非夫人之爲慟而誰爲?”
안연사. 자곡지통. 종자왈 “자통의” 왈 “유통호? 비부인지위통이수위?"
안연이 죽자 공자께서 대단히 슬퍼하시며 곡을 하셨다. 이를 보고, 모시던 사람이 말하였다. “선생님께서 지나치게 애통해 하십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지나치게 애통해 한다고? 이런 사람을 위해서 애통해 하지 않는다면 누구를 위해 그렇게 하겠느냐?”
10.
顔淵死, 門人欲厚葬之. 子曰, “不可.” 門人厚葬之. 子曰, “回也視予猶父也, 予不得視猶子也. 非我也, 夫二三子也.”
안연사, 문인욕후장지. 자왈, “불가.” 문인후장지. 자왈 “회야시여유부야, 여불득시유자야. 비아야, 부이삼자야.”
안연이 죽자 문인들이 그를 성대하게 장사지내고자 하니, 공자께서 “안된다”라고 하셨다. 그러나 마침내 문인들이 성대하게 장사지내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회는 나를 친아버지처럼 대했는데, 나는 그를 자식처럼 대하지 못했구나. 이는 나의 탓이 아니라, 너희들 몇몇의 탓이로다.”
11.
季路問事鬼神. 子曰, “未能事人, 焉能事鬼?” 曰, “敢問死.” 曰, “未知生, 焉知死?”
계로문사귀신. 자왈 “미능사인, 언능사귀?” 왈 “감문사.” 왈 “미지생, 언지사?”
계로가 귀신 섬기는 일에 대하여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도 제대로 섬기지 못하는데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느냐?”
“감히 죽음에 대하여 여쭙겠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삶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데 어찌 죽음을 알겠느냐?”
12.
閔子侍側, 誾誾如也, 子路, 行行如也, 冉有, 子貢, 侃侃如也. 子樂. “若由也, 不得其死然.”
민자시측, 은은여야, 자로, 항항여야, 염유, 자공, 간간여야. 자락. "약유야, 부득기사연."
민자건은 공자를 곁에서 모실 때 더불어 즐거워하면서도 주장이 분명하였고, 자로는 강하고 용감하였으며, 염유․자공은 강직하였다. 공자께서는 이런 제자들과 지내며 즐거워하셨다. 그러나 “유(자로)와 같은 사람은 제 명대로 살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셨다.
13.
魯人爲長府. 閔子騫曰, “仍舊貫如之何? 何必改作?” 子曰, “夫人不言, 言必有中.”
로인위장부, 민자건왈 "잉구관여지하? 하필개작?" 자왈 "부인불언, 언필유중."
노나라 사람이 장부(長府)라는 창고를 다시 만들자, 민자건이 말하였다. “옛 것을 그대로 쓰면 어떤가? 왜 꼭 다시 지어야만 하는가?”
이를 듣고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사람은 말을 잘 안 하지만, 말을 하면 반드시 이치에 맞는다.”
14.
子曰, “由之瑟, 奚爲於丘之門?” 門人不敬子路. 子曰, “由也升堂矣, 未入於室也.”
자왈 “유지슬, 해위어구지문?" 문인불경자로. 자왈 "유야승당의, 미입어실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자로)의 거문고를 어찌 내 집안에서 연주할 수가 있겠느냐?” 이를 듣고 문인들이 자로를 공경하지 않았다. 이를 듣고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는 대청마루에는 올라섰으나, 다만 아직 방안에 못 들어온 것이다.”
15.
子貢問, “師與商也孰賢?” 子曰, “師也過, 商也不及.” 曰, “然則師愈與?” 子曰, “過猶不及.”
자공문 “사여상야숙현?" 자왈 "사야과, 상야불급." 왈 "연즉사유여?" 자왈 "과유불급."
자공이 여쭈었다. “사(자장)와 상(자하)은 누가 더 현명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는 지나치고 상은 부족하지.”
“그러면 사가 낫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마찬가지이네.”
16.
季氏富於周公, 而求也爲之聚斂而附益之. 子曰, “非吾徒也. 小子鳴鼓而攻之可也.”
계씨부어주공, 이구야위지취렴이부익지. 자왈 "비오도야. 소자명고이공지가야."
계씨는 주공보다 더 부유했는데, 그의 가재(家宰)인 염구가 그를 위해 세금을 거두어 모아서 그를 더 부유하게 해주었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는 나의 제자가 아니다. 너희들은 북을 울리며 그를 공격해도 괜찮다.”
17.
柴也愚, 參也魯, 師也辟, 由也喭.
사야우, 삼야노, 사야벽, 유야언.
시는 어리석고 삼(증자)는 둔하고 사(자장)는 형식에 치우치고 유(자로)는 거칠다.
18.
子曰, “回也其庶乎, 屢空. 賜不受命, 而貨殖焉, 億則屢中.”
자왈 “회야기서호, 누공. 사불수명, 이화식언, 억즉루중.”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회(안연)는 거의 도(道)를 터득했지만, 자주 쌀통이 빌 정도로 가난했다. 사(자공)는 운명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재산을 늘렸는데, 그의 예측은 여러 차례 적중했다.”
19.
子張問善人之道. 子曰, “不踐迹, 亦不入於室.”
자장문선인지도. 자왈 “불천적, 약불입어실.”
자장이 선한 사람이 되는 길에 대해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 성현의 가르침과 행적을 따르지 않으면, 역시 높은 경지에는 들어갈 수 없다.”
20.
子曰, “論篤是與, 君子者乎? 色莊者乎?”
자왈 “론독시여, 군자자호, 색장자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하는 것이 미덥다고 해서 그를 인정해 준다면, 그가 군자다운 사람이라는 것이냐? 겉모습 그럴듯한 사람이라는 것이냐?”
21.
子路問, “聞斯行諸?” 子曰, “有父兄在, 如之何其聞斯行之?” 冉有問, “聞斯行諸?” 子曰, “聞斯行之.” 公西華曰, “由也問聞斯行諸, 子曰, ‘有父兄在’, 求也問聞斯行諸, 子曰, ‘聞斯行之’. 赤也惑, 敢問.” 子曰, “求也退, 故進之, 由也兼人, 故退之.”
자로문 “문사행저?" 자왈 "유부형재, 여지하기문사행지?" 염유문 "문사행저?" 자왈 "문사행지." 공서화왈 "유야문 '문사행저?' 자왈 '유부형재.' 구야문 '문사행저?' 자왈 '문사행지.' 적야혹, 감문." 자왈 "구야퇴, 고진지; 유야겸인, 고퇴지."
자로가 “좋은 말을 들으면 곧 실천해야 합니까?”하고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형이 계시는데 어찌 듣는 대로 곧 행하겠느냐?”
염유가 “좋은 말을 들으면 실천해야 합니까?” 하고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들으면 곧 행해야 한다.”
공서화가 여쭈었다. “유(자로)가 ‘들으면 곧 실천해야 합니까?’라고 여쭈었을 때는 선생님께서 ‘부형이 계신다’라고 하셨는데, 구(염유)가 ‘들으면 곧 실천해야 합니까?’하고 여쭈었을 때는 ‘들으면 곧 행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저는 의아하여 감히 여쭙고자 합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구(염유)는 소극적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한 것이고, 유(자로)는 남을 이기려 하기 때문에 물러서도록 한 것이다.”
22.
子畏於匡, 顔淵後. 子曰, “吾以女爲死矣.” 曰, “子在, 回何敢死?”
자외어광, 안연후. 자왈 “"오이여위사의." 왈 "자재, 회하감사?"
공자께서 광 땅에서 위험한 일을 당하셨을 때 안연이 뒤늦게 도착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네가 죽은 줄로 알았구나.”
“선생님께서 계신 데 제가 어찌 감히 죽겠습니까?”
23.
季子然問, “仲由冉求可謂大臣與?” 子曰, “吾以子爲異之問, 曾由與求之問. 所謂大臣者, 以道事君, 不可則止. 今由與求也, 可謂具臣矣.” 曰, “然則從之者與?” 子曰, “弑父與君, 亦不從也.”
계자연문, 중유염구가위대신여?” 자왈 "오이자위이지문, 증유여구지문. 소위대신자, 이도사군, 불가즉지. 금유여구야, 가위구신의." 왈 "연즉종지자여?" 자왈 "시부여군, 역부종야."
계자연이 여쭈었다. “중유와 염구는 큰 신하라고 할 만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선생께서 범상치 않은 질문을 하시리라 생각했는데, 겨우 유와 구에 대한 질문이시군요. 이른바 큰 신하란 도(道)로써 임금을 섬기다가, 제대로 할 수 없으면 그만두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임금이 시키는 대로 따르기만 하는 사람들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버지와 임금을 시해하는 일 같은 것은 그래도 따르지 않을 것입니다.”
24.
子路使子羔爲費宰. 子曰, “賊夫人之子.” 子路曰, “有民人焉, 有社禝焉, 何必讀書, 然後爲學?” 子曰, “是故惡夫佞者.”
자로사자고위비재. 자왈 “적부인지자." 자로왈 "유민인언, 유사직언, 하필독서, 연후위학?" 자왈 "시고오부녕자."
자로가 자고를 비 땅의 읍재로 삼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남의 자식을 망치는구나.”
자로가 말씀드렸다. “다스릴 백성이 있고 받들 사직이 있는데, 하필 글을 읽은 다음에야 공부를 한다고 하겠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래서 말 잘하는 사람을 미워하는 것이다.”
25.
子路,曾晳,冉有,公西華侍坐. 子曰, “以吾一日長乎爾, 毋吾以也. 居則曰, ‘不吾知也!’ 如或知爾, 則何以哉?” 子路率爾而對曰, “千乘之國, 攝乎大國之間, 加之以師旅, 因之以饑饉, 由也爲之, 比及三年, 可使有勇, 且知方也.” 夫子哂之. “求! 爾何如?” 對曰, “方六七十, 如五六十, 求也爲之, 比及三年, 可使足民. 如其禮樂, 以俟君子.” “赤! 爾何如?” 對曰, “非曰能之, 願學焉. 宗廟之事, 如會同, 端章甫, 願爲小相焉.” “點! 爾何如?” 鼓瑟希, 鏗爾, 舍瑟而作, 對曰, “異乎三子者之撰.” 子曰, “何傷乎? 亦各言其志也.” 曰, “莫春者, 春服旣成, 冠者五六人, 童子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 夫子喟然歎曰, “吾與點也!” 三子者出, 曾晳後. 曾晳曰, “夫三子者之言何如?” 子曰, “亦各言其志也已矣.” 曰, “夫子何哂由也?” 曰, “爲國以禮, 其言不讓, 是故哂之.” “唯求則非邦也與?” “安見方六七十如五六十而非邦也者?” “唯赤則非邦也與?” “宗廟會同, 非諸侯而何? 赤也爲之小, 孰能爲之大?”
자로,증석,염유,공서화시좌. 자왈 “이오일일장호이, 무오이야. 거즉왈 '불오지야,' 여혹지이, 즉하이재?" 자로솔이이대왈 "천승지국, 섭호대국지간, 가지이사려, 인지이기근, 유야위지, 비급삼년, 가사유용, 차지방야." 부자신지. "구, 이하여?" 대왈 "방륙칠십여오륙십, 구야위지, 비급삼년, 가사족민. 여기례악, 이사군자." "적, 이하여?" 대왈 "비왈능지, 원학언. 종묘지사여회동, 단장보, 원위소상언." "점, 이하여?" 고슬희, 갱이사슬이작, 대왈 "이호삼자자지찬." 자왈 "하상호? 역각언기지야." 왈 "모춘자, 춘복기성, 관자오륙인·동자륙칠인, 욕호기, 풍호무우, 영이귀." 부자위연탄왈 "오여점야!" 삼자자출, 증석후. 증석왈 "부삼자자지언하여?" 자왈 "역각언기지야이의." 왈 "부자하신유야?" 왈 "위국이례, 기언불양, 시고신지." "유구즉비방야여?" "안견방륙칠십여오륙십이비방야자?" "유적즉비방야여?" "종묘,회동, 비제후이하? 적야위지소, 숙능위지대?"
자로․증석․염유․공서화가 공자를 모시고 앉아 있을 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너희들보다 나이가 조금 많기는 하지만, 그런 것을 의식하지 말고 얘기해 보아라. 평소에 말하기를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라고 하는데, 만일 너희를 알아주는 사람이 있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자로가 불쑥 나서면서 대답하였다. “제후의 나라가 큰 나라들 사이에 끼어 있어서 군대의 침략을 당하고 거기에 기근까지 이어진다 하더라도, 제가 그 나라를 다스린다면 대략 3년 만에 백성들을 용감하게 하고 또한 살아갈 방향을 알도록 하겠습니다.” 공자께서 미소지으셨다.
“구(염유)야, 너는 어찌하겠느냐?”
염유가 대답하였다. “사방 60~70리 혹은 50~60리의 땅을 제가 다스린다면, 대략 3년 만에 백성들을 풍족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곳의 예법이나 음악과 같은 것에 관해서는 군자를 기다리겠습니다.”
“적(공서화)아, 너는 어찌하겠느냐?”
공서화가 대답하였다. “저는 ‘할 수 있다’고 말하기보다는, 배우고자 합니다. 종묘에서 제사 지내는 일이나 혹은 제후들이 천자를 알현할 때, 검은 예복과 예관을 갖추고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점(증석)아 너는 어찌하겠느냐?” 거문고를 타는 소리가 점차 잦아들더니, 뎅그렁 하며 거문고를 밀어 놓고 일어서서 대답하였다. “세 사람이 이야기 한 것과는 다릅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무슨 상관이 있겠느냐? 또한 각기 자기의 뜻을 말한 것이다.”
증석이 말하였다. “늦은 봄에 봄옷을 지어 입은 뒤, 어른 5~6명, 어린 아이 6~7명과 함께 기수에서 목욕을 하고 무우에서 바람을 쐬고는 노래를 읊조리며 돌아오겠습니다.”
공자께서 감탄하시며 말씀하셨다. “나는 점과 함께 하련다.”
세 사람이 나가고 증석이 뒤에 남았다. 증석이 여쭈었다. “저 세 사람의 말이 어떻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또한 각각 자기의 뜻을 이야기했을 뿐이다.”
“선생님께서는 무엇 때문에 유의 말이 미소를 지으셨습니까?”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예(禮)로써 해야 하는데 그의 말이 겸손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소지은 것이다.”
“구(염유)의 경우는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어찌 사방 60~70리 또는 50~60리인데 나라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냐?”
“적(공서화)의 경우는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종묘의 일과 천자 알현하는 일이 제후의 일이 아니고 무엇이겠느냐? 적의 일을 작은 일이라고 한다면 누구의 일을 큰일이라고 할 수 있겠느냐?”